항해술/지문항해

지문항해-항로표지(3)

OceanWhale 2025. 1. 16. 18:24

음파표지

 

1. 음파표지의 종류

에어 사이렌 (Air Siren) : 압축 공기에 의해 사이렌 취명

모터 사이렌 : 에어 사이렌에 전동기 장착하여 사이렌을 취명

다이어폰 (Diaphone) : 압축 공기에 의한 피스톤 왕복시켜 소리

다이어프램 폰 (Diaphragm Phone) : 발음기 발음판 진동시켜 취명

취명 부표 (Whistle Buoy) : 파랑에 의한 부표의 진동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소리, 시계가 좋지 않고 해면이 잔잔하면 소리 X

무종 (Fog Bell) : 가스의 압력 또는 기계 장치로서 종을 쳐서 나는 소리

타종부표 (Bell buoy) : 부표의 꼭대기에 종을 달아 파랑에 의한 흔들림을 이용하여 종을 울림, 시계가 좋지 않고 해면이 잔잔하면 소리 X

수중음신호 : 동선 또는 등대 부근에서 수중음신호를 발사하며, 선박에서 장치한 수신장치로 수신하게되는 장치,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2. 음파표지에 관한 주의 사항

음향의 강약은 신호소의 거리와 비례하지 않음

지형 또는 대기에 따라 음향전달거리가 변형, 신호음의 방위 또는 강약만으로 신호소의 방위 또는 거리 판단 X

추가 경계원의 배치, 선내 정숙

 

전파표지

전파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위치정보, 위험물 표시, 항로를 나타낼 수 있다. 

 

1. 무선방위신호소

무선방향탐지국(Radio Direction Finding Station, RDF) : 선박에서 발사한 전파의 방위를 육상의 무선국에서 측정하여 다시 선박에 통보해 주는 무선국이다

 

중파표지국 (Medium Frequency Radio Beacons)

(1) 무지향식 무선표지국 (Circular Radio Beacon, R.C)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신호를 송출하여 위치 확인에 사용.

(2) 회전식 무선표지국 (Rotating Radio Beacon, R.W)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송출하며 회전 운동으로 위치 정보를 제공.

(3) 지향식 무선표지국 (Directional Radio Beacon, R.D)

특정 방향으로만 신호를 송출하여 정밀한 위치 지향성을 제공.

 

마이크로파 표지국 (Microwave Beacons)

(1) 유도 비컨 (Course Beacon)

항로를 안내하기 위해 특정 경로에 신호를 송출

(2) 레이더 반사기 (Radar Reflector)

레이더 신호를 반사해 위치를 명확히 나타냄

(3) 레이마크 (Raymark)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레이더 신호를 송출

 

(4) 레이콘 (Raycon)

전파 신호를 송출해 위치 및 정보를 제공하는 비컨

(5) 레이더 트랜스폰더 (Radar Transponder)

수신된 레이더 신호에 응답 신호를 송출하여 식별 및 위치 정보를 제공

(6) 레이더 플레어 (Radar Flare)

간헐적으로 강한 신호를 송출하여 레이더 상에서 위치를 표시.

(7) 소다비전 (Shore-Based Radar Television)

레이더 신호를 기반으로 영상 정보를 제공하여 위치와 상황을 파악.

 

2. 항법용 표지국

로란-C국 (LORAN-C)

장거리 라디오 항법 시스템으로, 여러 송신국에서 발신된 신호의 시간차를 측정해 위치를 계산

주국 1개에 종국 2~4개 국이 1개의 체인을 구성

데카 (Decca)

중파를 이용한 항법 시스템으로, 기준국과 보조국의 신호 위상차를 기반으로 위치를 결정.

주국 1개+종국 3개국이 1개의 체인을 구성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 어디에서든 정확한 위치, 속도, 시간을 제공하는 글로벌 항법 시스템

위성항법시스템으로 24개 이상의 위성에서 발사되는 전파를 사용

DGPS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고정된 기준국에서 신호를 송출하여 더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는 항법 시스템

 

 

특수신호표지

 

1. 조류신호표지

조류의 방향과 속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항해 안전과 효율성을 지원하는 표지.

 

2. 해양기상신호표지

해양의 기상 상태(풍속, 파도, 기온 등)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신호 표지.

 

3. 자동위치식별신호표지(AIS)

선박의 위치, 속력, 방향 등 항해 정보를 송수신하여 충돌 방지와 해상 교통 관리에 사용되는 신호 시스템.

 

국제해상부표방식 (IALA SYSTEM)

IALA(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ne Aids to Navigation and Lighthouse Authorities)는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해상 부표 체계를 두 가지 방식으로 운영한다

 

A방식 (Region A)

지역: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대부분, 호주

좌현(항로 왼쪽, Port side): 적색 부표

우현(항로 오른쪽, Starboard side): 녹색 부표

진입 시 항로 기준, 좌측에 적색, 우측에 녹색 배치

 

B방식 (Region B)

지역: 북미, 남미, 일본, 한국, 필리핀 등

좌현(항로 왼쪽, Port side): 녹색 부표

우현(항로 오른쪽, Starboard side): 적색 부표

진입 시 항로 기준, 좌측에 녹색, 우측에 적색 배치

 

측방표지 (Lateral Marks)

항로의 좌우 경계를 표시.

A방식: 좌현(적색), 우현(녹색)

B방식: 좌현(녹색), 우현(적색)

항로 진입 시 방향을 안내

 

2. 방위표지 (Cardinal Marks)

장애물이나 안전 항로의 방향을 표시

방위(북, 동, 남, 서)에 따라 다른 색상과 등질을 사용

항로에서 안전한 방향으로 유도

 

3. 고립장해표지 (Isolated Danger Marks)

항로 내 단독 장애물의 위치를 표시

검은색과 붉은 띠로 구분되며, 두 개의 검은 구형 탑마크가 특징

장애물이 가까이에 있음을 경고

 

4. 안전수역표지 (Safe Water Marks)

항로에서 안전한 수역을 표시

흰색 바탕에 붉은 띠가 있으며, 구형 탑마크를 가짐

주로 항로 시작점이나 중심에 사용

 

5. 특수표지 (Special Marks)

특정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구역을 표시(예: 어장, 케이블 구역)

노란색으로 표시되며, X 모양의 탑마크 사용

 

6. 침선표지 (Wreck Marks)

침몰선이 위치한 구역을 표시하여 항해 위험을 알림

파란색과 노란색의 교차 띠로 구분되며, 황백색 등화 사용

안전 항로를 우회하도록 안내

FL BY, 청색과 황색의 섬광등으로 표시

RACON(D)를 추가로 설치

'항해술 > 지문항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문항해 - 연안항법  (0) 2025.03.13
지문항해-대양 항법  (0) 2025.01.21
지문항해-항로표지(2)  (0) 2025.01.16
지문항해-항로표지(1)  (1) 2025.01.15
지문항해-수로서지(3)  (0)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