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석 (Tides)
바닷물의 주기적인 상승과 하강을 의미하며, 달과 태양의 중력 및 지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① 기조력 (Tidal Force)
달과 태양의 중력이 바닷물을 끌어당기면서 발생하는 힘입니다. 조석의 근본 원인입니다.
---
2. 조류 (Tidal Current)
조석에 의해 발생하는 바닷물의 수평 이동입니다. 조류는 주기적으로 방향과 속도가 변합니다.
---
3. 해류 (Ocean Current)
조류와는 달리, 바다 전체의 대규모 지속적인 수평 흐름을 의미하며, 조석보다는 바람, 수온, 염분 차이 등에 의해 형성됩니다.
---
4. 고조 (High Tide)
조석 주기 중 바닷물이 가장 높아지는 시점입니다.
---
5. 저조 (Low Tide)
조석 주기 중 바닷물이 가장 낮아지는 시점입니다.
---
6. 정조 (Slack Water)
조류의 흐름이 멈추고 방향이 바뀌기 전후의 순간으로, 물의 흐름이 가장 약한 상태입니다.
---
7. 창조 (Flood Tide)
물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고조에 이르는 기간입니다.
---
8. 낙조 (Ebb Tide)
물이 낮아지기 시작하여 저조에 이르는 기간입니다.
---
9. 조차 (Tidal Range)
고조와 저조 간의 수직 높이 차이를 의미합니다.
---
10. 대조차 (Spring Tidal Range)
대조 기간 동안 고조와 저조 간의 가장 큰 높이 차이를 의미합니다.
---
11. 소조차 (Neap Tidal Range)
소조 기간 동안 고조와 저조 간의 가장 작은 높이 차이를 의미합니다.
---
12. 평균조차 (Mean Tidal Range)
일정 기간 동안 조차의 평균값입니다.
---
13. 월조간격 (Age of Tide)
달이 특정 위상(예: 삭, 만월)에 도달한 후 고조 또는 저조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입니다.
---
14. 고조간격 (High Water Interval)
달의 자오선을 통과한 후 고조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입니다.
---
15. 저조간격 (Low Water Interval)
달의 자오선을 통과한 후 저조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입니다.
---
16. 평균고조간격 (Mean High Water Interval)
일정 기간 동안 고조간격의 평균값입니다.
---
17. 평균저조간격 (Mean Low Water Interval)
일정 기간 동안 저조간격의 평균값입니다.
---
18. 조후시 (Tide Lag Time)
달의 위치와 조석 발생 간의 시간 차이입니다.
---
19. 월령 (Lunar Age)
달의 삭(신월)부터 경과한 일수를 나타내며, 조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20. 조령 (Tidal Age)
조석의 변동 주기를 나타내는 기간으로, 달의 위상 변화에 따라 결정됩니다.
---
21. 대조 (Spring Tide)
달과 태양의 인력이 합쳐져 조차가 최대가 되는 시기입니다. 삭(신월)과 망(보름달) 때 발생합니다.
---
22. 소조 (Neap Tide)
달과 태양의 인력이 상쇄되어 조차가 최소가 되는 시기입니다. 상현과 하현 때 발생합니다.
---
23. 조승 (Tidal Rise)
물의 높이가 고조로 향해 상승하는 과정입니다.
---
24. 대조승 (Spring Tidal Rise)
대조 기간 동안의 물 상승을 의미합니다.
---
25. 소조승 (Neap Tidal Rise)
소조 기간 동안의 물 상승을 의미합니다.
---
26. 부진동 (Seiche)
해역 내에서 바닷물이 고유 진동수로 진동하는 현상으로, 조석과 별개로 발생합니다.
---
27. 일조부등 (Diurnal Inequality)
하루 동안 고조 또는 저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28. 분점조 (Equatorial Tide)
춘분과 추분 때 나타나는 조석으로, 달과 태양의 인력이 적도 부근에서 강하게 작용하는 시기입니다.
---
29. 회귀조 (Tropical Tide)
달과 태양이 적도에서 멀어지는 경로를 따라 발생하는 조석입니다.
---
30. 비조화상수 (Non-Harmonic Constant)
조석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비주기적인 변수를 나타냅니다.
---
31. 조화상수 (Harmonic Constant)
조석의 주기적인 변동을 나타내는 상수로, 조석 예보에 필수적입니다.
---
32. 조석의 주기 (Tidal Period)
고조에서 다음 고조, 또는 저조에서 다음 저조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1. 창조류 (Flood Current)
조석 주기 중 바닷물이 상승하면서 해안이나 하천으로 흘러드는 흐름입니다. 창조 기간에 발생하며, 수심이 점점 깊어집니다.
---
2. 낙조류 (Ebb Current)
조석 주기 중 바닷물이 하강하면서 해안에서 바다로 흘러나가는 흐름입니다. 낙조 기간에 발생하며, 수심이 점점 얕아집니다.
---
3. 게류 (Tidal Eddy)
조류가 해안선, 암초, 섬 등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특정 조건에서 생기는 소용돌이 흐름입니다.
---
4. 전류 (Rotary Current)
조류의 방향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흐름입니다. 주로 넓은 해역에서 관찰됩니다.
---
5. 급조 (Bore or Tidal Bore)
강의 좁은 입구에서 바닷물이 갑자기 밀려올라오는 현상으로, 창조류가 매우 강할 때 발생합니다. 높은 파도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6. 격조 (Standing Wave)
조석이나 조류의 흐름이 해안이나 장애물에 반사되어 생성된 정체된 물결입니다. 주로 반대 방향의 흐름이 충돌할 때 발생합니다.
---
7. 반류 (Counter Current)
주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은 흐름입니다. 해안 근처 또는 좁은 수로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
8. 와류 (Vortex or Whirlpool)
물의 소용돌이 현상으로, 두 조류가 만나거나 바닥의 장애물로 인해 발생합니다. 특정 해역에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9. 조신 (Tidal Slack)
조류가 정지한 상태로, 창조류에서 낙조류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는 순간에 발생합니다.
---
10. 조랑 (Tidal Ripple)
조류로 인해 발생하는 작은 물결로, 조류의 강도와 해저 지형에 따라 형성됩니다.
---
11. 등조시도 (Co-tidal Chart)
같은 고조나 저조가 동시에 발생하는 해역을 연결한 선을 표시한 지도입니다. 조석의 시간적 분포를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항해술 > 지문항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문항해 - 해수의 운동(2) (1) | 2025.01.06 |
---|---|
지문항해 - 해수의 운동(1) (0) | 2025.01.06 |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5) (1) | 2025.01.03 |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4) (2) | 2025.01.02 |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3) (0)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