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

지문항해 - 연안항법

수평협각법뚜렷한 3개의 물표를 육분의로 수평협각을 측정, 3간 분도기(또는 투사지)를 사용하여 그들 협각을 각각의 원주각으로 하는 원의 교점을 구하는 방법이다 1. 장점① 측정위치가 정확하다② 물표가 선박의 연돌, 마스트 등의 장애물에 가리지 않는다③ 자차, 편차의 영향과 무관하다④ 컴퍼스 고장시 이용⑤ 자주 변침하는 복잡한 수로에서 사용하기 좋다⑥ 선체의 동요가 심할 때는 Compass card가 불안정하여 방위를 측정하기 곤란하고 정밀도도 낮아지나 이 방법은 별로 곤란하지 않다. -> 작은 단정에서 편리하다 2. 단점① 수평협각의 측정 및 선위의 결정에 다소 시간이 걸린다② 물표의 위치가 부정확할 경우 선위의 정밀도를 파악하기가 곤란하다③ 반드시 3개의 물표가 있어야 한다

운용-문제 관련

1. 배수량 15,000 톤의 선박에서 50톤의 중량물을 갑판상 정횡으로 8m 이동시켰을 때, 선체 중심선상에 설치한 길이 2m 진자의 추가 10cm 이동하였다. 이 선박의 메타센터 높이는 약 얼마인가?공식 : GG' * △ = w * d, GG' = GM * Tanθ GM = w(이동할 중량물) * d(중량물 이동거리)/W(배수량) * Tanθ 2. 복원 모멘트 = △ * GM * Sin θ, 10도 미만의 작은 각도에서만 성립하며 이를 초기 복원력이라고 한다 3. 횡요주기 : T = 0.8 * B / √GM (T = 횡요주기, B = 선폭), GM = (0.8 x B / T)^2 4. 동적 복원력이란 중심의 상승량과 부심의 하강량의 합에 배수량을 곱한 것이다외방 경사각은 GM이 작을수록, 선속..

문제풀이 202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