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선과 본초자오선>
자오선(Meridian) : 양극을 지나는 대권으로 적도에 직교하는 대권이다
본초자오선(Prime Meridian) : 양극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경도 0˚),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서로 180 ˚로 측정한다
진자오선(True Meridian) : 지극을 잇는 대권으로 진북과 진남을 잇는 대권
자기자오선 : 지자기극을 잇는 대권으로 자북과 자남을 잇는 대권이다
위도(Latitude, Lat, L) : 임의의 거등권과 적도 사이의 자오선상의 호를 90 ˚로 측정한 길이이다. 남북으로 측정하며 북쪽은 N, 남쪽은 S 기호를 붙인다
*변위 : 두 지점을 지나는 거등권 사이의 자오선상의 호의 길이, 두 위도가 같은 부호이면 빼고, 다르면 더한다. 도착위도가 출발위도보다 북쪽이면 N, 남쪽이면 S 부호를 붙인다
*여위도 = 90 ˚- 위도
경도(Longitude, Long, λ) : 어느 지점의 자오선과 본초자오선 사이의 적도상 호의 길이이다. 본초자오선을 기준으로 180 ˚ 측정한다. 동쪽으로 잰 것을 동경, 서쪽으로 잰 것을 서경이라고 한다
*변경 : 두 지점의 자오선 사이에 낀 적도상의 호 또는 극에서 이루는 각, 부호가 같은면 -, 다르면 +를 사용한다, 출발지보다 도착지가 동쪽으면 E, 서쪽이면 W 부호를 붙인다, 합이 180 ˚를 초과하면 360 ˚에서 빼고 부호를 반대로 한다
항정선(Rhumb Line)
지구 위의 모든 자오선과 같은 각으로 만나는 곡선이다. 항해 및 지리학에서 일정한 방위를 유지하며 지구 표면을 따라가는 곡선을 말합니다. 지도에서 직선으로 보이는 경로이지만, 실제로는 구면을 따라가는 곡선이다. 적도, 거등권, 자오선을 항행하면 같은 곳을 항행하나, 이외의 곳에서 침로로 계속 항행하게 되었을 때는 나선형 곡선을 그리며 극에 가까워 진다
항정(Distance : D)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르는 항정선상의 거리 또는 양 지점을 잇는 대권상의 호의 길이를 마일로 표시한다
동서거(Departure : p)
무수한 자오선 사이 항정선을 통과하는 거등권의 호의 합
* 같은 위도로 항해시에는 동서거=항정 (p=D)
* 같은 자오선상을 항해시에는 동서거=0 (p=0)
* 적도상을 항해할 때에는 동서거=항정-변경(p=D=DLo)
공부를 지속하기가 쉽지 않네.. 그래도 공부하자
'항해술 > 지문항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5) (1) | 2025.01.03 |
---|---|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4) (2) | 2025.01.02 |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3) (0) | 2025.01.01 |
항해술 - 지구상의 위치(1) (0) | 2024.12.29 |
항해 (0) | 2024.12.25 |